본문 바로가기
행복/소설 속 행복론

『동물농장』이 말하는 행복 – 자유 없는 평등은 행복이 될 수 있는가?

by 홉스공스 2025. 7. 3.
728x90
반응형

『동물농장』이 말하는 행복 – 자유 없는 평등은 행복이 될 수 있는가?

“모든 동물은 평등하다. 그러나 어떤 동물은 더 평등하다.”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은 단순한 우화처럼 보이지만,
자유와 평등, 그리고 행복이 어떻게 무너지는지를 날카롭게 보여주는 고전 중의 고전이다.

이 작품을 통해 우리는 묻게 된다.
진짜 행복은 무엇인가?
누군가에 의해 규정된 평등과 복지 속에서도 우리는 행복할 수 있는가?


1. 혁명의 시작 – 자유를 위한 외침은 행복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을까?

농장 동물들은 인간(존스 씨)의 학대와 착취에 지쳐 ‘자유’를 외친다.
노동은 힘들고, 보상은 적고, 항상 배가 고프다.

▶️ 그들이 꿈꾼 건 노동의 댓가가 공정하게 분배되는 세상,
▶️ 즉, 평등과 자유가 공존하는 삶이었다.

이 순간의 혁명은, 말 그대로 **“행복을 되찾기 위한 시작”**이었고,
자발적 투쟁은 곧 희망을 품는 행위였다.

그러나 행복은 ‘혁명 그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후에 어떻게 살아가는가에 달려 있다.


2. 이상이 붕괴되는 순간 – 행복은 권력의 도구가 된다

나폴레온(돼지)은 점차 권력을 독점하고,
처음엔 모두가 암기했던 **“모든 동물은 평등하다”**는 구호가 변형된다.

  • “모든 동물은 평등하다” → “그러나 어떤 동물은 더 평등하다.”
  • 비판과 질문은 억압되고,
  • 교육과 정보는 독점되며,
  • 동물들은 점점 더 자신이 행복하다고 ‘믿도록’ 강요당한다.

▶️ 진실을 감추기 위해 ‘과장된 생산 보고서’와 ‘거짓된 선전’이 넘친다.
▶️ 결국, 행복은 통치자들의 프로파간다로 조작되는 허상이 된다.

이것은 현대 사회에서도 반복되는 질문이다.
“나는 정말 행복한가, 아니면 행복하다고 믿게 된 것일 뿐인가?”


3. 복종과 세뇌 – 스스로 생각하지 않는 삶은 과연 행복할까?

복종적인 말 복서(Boxer)는 “나는 더 열심히 일할 뿐”이라며
끝까지 권력자 나폴레온을 신뢰한다.

▶️ 하지만 그에게 돌아온 건 은퇴가 아니라 도살장행 트럭이었다.
▶️ 그의 삶은 결국 **자기 판단이 배제된 채 시스템에 헌신한 ‘순종의 결과’**였다.

“행복이란 무엇인가?
충성인가, 아니면 스스로의 머리로 생각하고 느끼는 자유인가?”

『동물농장』은 단호하게 말한다.
“생각하지 않는 자유는, 행복도 아니다.”


4. 오웰이 말하는 행복론 – ‘자유 없이 주어진 삶’은 행복일 수 없다

조지 오웰은 『동물농장』을 통해
행복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진정한 행복은 자유와 책임이 동반될 때만 존재할 수 있다.
복지나 평등이라는 이름 아래 자유가 억압된다면, 그것은 행복이 아니라 통제다.
생각할 수 있는 자유, 말할 수 있는 용기, 질문할 수 있는 권리가 없으면
그 어떤 평등도 껍데기일 뿐이다.

“행복은 단지 배부름이 아니라,
‘이 세상이 공정하다’고 느끼는 진심에서 시작된다.”


5. 오늘날 우리가 던져야 할 질문

『동물농장』은 단지 과거의 독재 정권에 대한 풍자가 아니다.
그건 지금 여기,
우리의 조직, 사회, 시스템, 심지어 SNS 안의 권력 구조에 대한 통찰이다.

👉 우리는 지금, ‘나만의 행복’을 주체적으로 만들고 있는가?
👉 아니면 ‘정해진 틀’ 안에서 ‘행복한 척’ 살아가고 있는가?

▶️ 『동물농장』은 불편한 질문을 통해 진짜 자유, 진짜 행복이 무엇인지 묻는다.
▶️ 그 불편함은 때론, 각성의 시작이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