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릿』이 우리에게 묻는 질문: 진정한 행복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모두 행복해지길 원합니다.
하지만 때때로 삶은 너무 복잡하고, 선택은 모호하며, 진실은 흐릿합니다.
그럴 때마다 우리는 묻게 됩니다.
"행복이란 도대체 무엇일까?"
셰익스피어의 대표 비극 『햄릿』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주지 않습니다.
대신, 그 속 주인공인 햄릿의 고뇌와 선택을 통해 우리가 스스로 답을 찾도록 인도합니다.
1. 햄릿의 삶: 행복을 막는 건 세상인가, 나 자신인가?
햄릿은 덴마크 왕자입니다.
하지만 아버지의 죽음과 어머니의 재혼, 삼촌의 음모 속에서 그는 혼란과 의심에 빠집니다.
그리고 귀신으로 나타난 아버지에게 복수를 명령받죠.
그는 권력도, 지식도, 기회도 가지고 있지만, 행복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단 하나. 그는 끊임없이 질문하고, 끝없이 머뭇거리기 때문입니다.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이 유명한 대사는 단순한 생사의 문제가 아닙니다.
존재의 의미, 고통을 감내할 가치, 그리고 삶의 본질에 대한 질문입니다.
햄릿은 스스로를 괴롭히고, 인간의 본성과 세계의 부조리에 대해 끊임없이 의심합니다.
2. 행복이란 확신에서 오는가, 사유에서 오는가?
햄릿은 매우 지적인 인물입니다.
그는 인간과 세상, 도덕과 진실에 대해 깊이 고민하지만, 바로 그 사유가 그를 마비시킵니다.
"사유는 결단의 힘을 약화시킨다."
이 대사를 보면 셰익스피어는 행복이란 과도한 성찰이 아닌, 단순한 결단에서 올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햄릿의 고통은 어쩌면 외부의 상황 때문이 아니라, 끝없이 분석하는 그 자신의 성향 때문일지도 모릅니다.
이것은 오늘날 현대인들이 겪는 ‘선택 장애’, ‘우울’, ‘자기혐오’와도 매우 닮아 있습니다.
3. 햄릿의 주변 인물들이 보여주는 또 다른 행복
햄릿과 대비되는 인물들도 있습니다.
- **클로디어스(햄릿의 삼촌)**는 욕망과 권력으로 가득 찬 인물입니다.
그는 왕위를 얻었지만, 내면에서는 끊임없는 죄책감에 시달립니다.
겉보기엔 성공했지만, 행복하지 않습니다. - 오필리어는 사랑과 가족, 사회적 역할 사이에서 갈등하다 결국 무너집니다.
그녀는 고통을 이겨내지 못하고, 현실에서 도망치는 방식으로 비극을 맞이합니다.
이처럼 『햄릿』 속 인물들은 모두 저마다의 방식으로 행복을 추구하지만,
그 끝은 종종 파국입니다.
셰익스피어는 이를 통해 행복은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존재 전체의 조화와 자아의 확립에 달려있다는 점을 말하고 있습니다.
4. 『햄릿』이 전하는 행복론: 질문하는 인간의 슬픔과 위엄
햄릿은 결국 복수를 이뤄내지만, 그 대가는 너무 큽니다.
그러나 그는 마지막에 이르러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이고, 결단을 내립니다.
“남은 일은 침묵 속에서...”
그의 마지막 말은 슬프지만, 어쩌면 가장 평온한 순간입니다.
끊임없이 갈등하던 햄릿이 드디어 자기 존재를 수용했기 때문이죠.
이 장면에서 셰익스피어는 묻고 있는 듯합니다.
“진정한 행복은 고통이 없는 삶이 아니라, 고통을 껴안고도 스스로를 받아들일 수 있는 태도에서 오는 것이 아닐까?”
5. 오늘날 우리가 『햄릿』에서 배울 수 있는 것
햄릿은 인간의 불완전함과 끊임없는 의심, 실패와 모순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그는 끝까지 생각하고, 괴로워하며, 자신을 놓지 않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빠른 정답, 가벼운 쾌락, 피상적인 성공에 익숙해져 있습니다.
그러나 햄릿은 말합니다.
“질문하고 고뇌하라. 너 자신으로 살아가라. 거기서 진짜 의미가 피어난다.”
그렇기에 『햄릿』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행복은 완전한 상태가 아니라, 불완전한 인간이 스스로를 받아들이는 그 여정에서 피어난다는 것.
'행복 > 소설 속 행복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곡』이 전하는 행복의 여정 – 지옥을 지나 천국에 이르기까지 (18) | 2025.06.22 |
---|---|
『로빈슨 크루소』가 말하는 진짜 행복이란? – 고립 속에서 피어난 자아의 힘 (20) | 2025.06.21 |
『오만과 편견』이 말하는 진짜 행복이란? – 제인 오스틴이 전하는 삶의 지혜 (36) | 2025.06.20 |
『노인과 바다』가 말하는 행복: 패배 속에서도 존엄을 지킨 삶 (29) | 2025.06.14 |
『데미안』 속 싱클레어의 삶을 통해 본 행복이란 무엇인가 (33) | 2025.06.13 |